메테오라로 가는 길. 계획하고 가는 게 아니어서 그곳에 무엇이 있는 지 아무것도 몰랐다.
메테오라 시내 도착해서 '와 신기하네?'하고 올려다 본 풍경.
자전거와 시내 풍경. 외국인 관광객들이 많아서 너무 신기했다.
알고보니 절벽위의 사원으로 유명한 메테오라 였다.
암벽등반 하는 사람들.

땅은 크지만 인구밀도는 낮은 탓에 많은 도로는 한가했다. 야영장 역시나 한가로워 주행 후 휴식하기엔 여간 좋은 것이 아니었다. 그러나 그리스 남부지역의 유명한 관광지를 다 빼고 그저 서쪽 끝에 위치한 항구도시 ‘이구메니차’로 향하던 길이라 여간 아쉬운 것이 아니었다.

하루 종일 주행하고 대충 빈 공터를 찾아 야영하고, 또 달리기를 몇일 반복했다. 비슷비슷한 풍경속을 달리는 것도 지겨워질 때쯤 멀리에 큰 바위덩어리가 보였다. 마주오던 자전거 여행자로부터 이구메니차로 가기전에 높은 산을 만날 것이라고 들었기에 그곳이 그 산의 시작이라고 생각했다. 보통 내륙지역에는 야영장이 거의 없는데, 그곳에는 몇 개의 야영장이 지도에 표시되어 있었다. 그래서 높은 산을 넘어가기전에 그곳에서 몇일 요양하다 가야겠다고 생각했다.

산 사면에 위치한 도시는 큰 바위를 배경으로 동서로 뻗어있었다. 의외로 수많은 호텔들이 들어서 있었고, 상점에는 일본사람, 중국사람, 심지어 한국사람까지 눈에 띄었다. ‘이 별볼일 없는 곳에 무슨 일이지?’ 커다란 바위에 무엇인가 비밀이 숨겨져 있는 듯 했다. 여행안내서를 가지고 있지 않았기에 그저 짐작해보는 수밖에 없었다. 떠날 때 최대한 편히 가기 위해 서쪽 끝, 그러니까 큰 바위가 끝나는 곳의 야영장으로 향했다.

크게 놀랐다. 그 큰 바위덩어리는 수많은 큰 바위덩어리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그 뒤쪽에 그보다 큰 바위들로 병풍을 이루고 있었다. ‘헉~!!’ 하며 놀라고 있는데 바위 위에 집이 있었다. ‘아니!!’ 하며 자세히 들여다보는데 정말 집이었다. 큰 바위들만해도 입이 딱 벌어졌는데, 그 위에다 집을 지어놓다니!!

‘메테오라’라고 하는 바위 위의 사원으로 유명한 곳이었다. ‘메테오라’이외에도 몇 개의 유명한 사원이 바위위에 지어져 있었다. 야영장 사무실에서 메테오라 안내지도를 받아들고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그곳에서 눈에 보이는 사원 이외에 수많은 사원이 바위위에 ‘올려져’ 있었기 때문이다. 그날은 시간이 늦어 쉬고 다음날 메테오라로 향했다.

숲속에서 뜬금없이 하늘로 치솟은 바위 사이로 도로가 나 있었다. 도로를 올라가며 보이는 사원들이 너무나 신기했다. 아무런 개념없이 그저 서쪽으로 향했을 뿐인데, 이렇게 멋진 장면을 보니 계획한 여행보다 몇 배는 더 흥미로웠다. 바위 속에 승강기라도 있을 것 같던 그 사원들은 다행히 바위 뒤쪽에 위치한 산에서 다리로 건너갈 수 있게 해놓았다. 

버스를 타고, 승용차를 타고 온 관광객들로 만원이었다. 터키 이스탄불 이후로 많은 관광객들을 보니 새삼 반가웠다. 사원 내부를 둘러보니 꽤나 오래된 곳이었다. 그림으로 된 설명을 대충 이해해 보니 외세의 침략에 대비해 마을의 요새 겸 사원으로 사용된 것 같았다. 문득 그곳 사원으로 대피했다가 도리어 고립이 되지 않을까 염려가 됐지만, 어쨌든 훌륭한 사원이었다. 무엇보다도 기암절벽들의 형세가 심상치가 않았다. 어떠한 신의 손놀림(풍화작용)으로 저렇게 되었을까! 자연의 신비는 가도가도 끝이 없다.

처음으로 만난 사원. 바위 위에 딱 맞게 올라가 있었다.
올라가는 길. 바위들이 어떤 것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주변지역과 완전히 다르게 풍화가 되어 있었다.
우뚝 솟은 바위.
그레이트 메테오른 수도원으로 올라가는 사람들.
올라가는 길도 돌로 쌓아서 만들었다.
조금 작은 규모의 사원.
올라온 길을 내려다보며 한 컷.
바를람 수도원.
수도원 내부. (어디더라...) 정원이 아주 잘 가꾸어져 있다.
아주 불편한 상황에서 건축했지만 마감이 좋았다.
수도원에서 바라본 마을. 푸른색 수영장이 있는 곳이 내가 묵던 야영장.
내가 묵던 야영장에서 올려다 본 절벽들.

<달려라 자전거>는 2006년 6월부터 2007년 9월까지 432일동안 유라시아를 여행한 이야기입니다. 지금 올리는 글은 그 때 당시에 쓴 글을 거의 그대로 옮긴 것으로 지금의 저와는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심지어 맞춤법도 안고쳤습니다. 책이 절판되어 글과 함께 사진을 더 붙여서 올리고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